안녕하세요😀AI쌤입니다.
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가 대중화되면서 ‘AI 환각(Hallucination)’ 문제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환각 현상이 무엇이며, 왜 단순한 오류보다 더 위험한지 철학적, 기술적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생성형 AI의 ‘환각’이란?
AI 환각이란, 대형언어모델(LLM)이 존재하지 않는 정보나 사실이 아닌 내용을 그럴듯하게 말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논문, 인물, 수치 등을 마치 진짜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제시하는 경우입니다.
이 문제는 단순한 ‘오류’가 아니라, 생성형 AI의 본질적인 작동 방식에서 기인합니다.
AI는 왜 헛소리를 할까?
생성형 AI는 ‘사실’을 알거나 이해하지 못합니다. 대신, 기존에 학습한 텍스트 패턴을 바탕으로 다음 단어를 예측하는 방식(자기회귀적 모델)으로 작동합니다. 이 때문에 AI는 문맥상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지만, 그 내용이 진실인지에 대한 판단 능력은 없습니다.
이를 두고 구글의 연구진은 LLM을 “확률론적 앵무새(Stochastic Parrots)“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 표현은 AI가 ‘의미’보다는 ‘확률’에 따라 말한다는 점을 정확히 짚어낸 것이죠.
철학자가 말한 ‘헛소리’의 위험
철학자 해리 프랑크푸르트(Harry Frankfurt)는 1986년 유명한 에세이 『On Bullshit(헛소리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습니다.
• 거짓말은 진실을 알고서 의도적으로 왜곡하는 것이지만,
• 헛소리는 애초에 진실에 관심이 없는 말이다.
그는 헛소리가 진실의 더 큰 적이라며, 듣는 이의 판단력을 흐리고 설득력을 통해 위험을 배가시킨다고 강조했습니다.
AI가 만들어내는 환각은 바로 이러한 ‘헛소리’의 대표적 사례일 수 있습니다.
최신 모델일수록 더 헛소리를 한다?
최근 등장한 GPT-4.5 기반의 ‘o3’, ‘o4-mini’ 등 고성능 모델조차 환각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모델이 복잡하고 자연스러워질수록, 사람들은 그 내용을 더 쉽게 믿는다는 역설적인 문제까지 생기고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는:
• OpenAI의 GPT-5에 대한 기대와는 달리, 환각 문제는 여전히 존재
• Anthropic의 ‘Claude’가 환각된 내용을 법적 문서에 포함시켜 논란 발생
이러한 사례는 AI가 아무리 똑똑해져도 진실의 기준 없이 자동으로 문장을 예측하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환각을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
OpenAI의 샘 알트먼(Sam Altman) CEO는
“모델에 ‘사실적 근거 없는 내용은 말하지 마라’고 설정하면 해결될 수 있다.”
라고 말했지만, 이는 창의성과 표현 능력을 억제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예를 들어, 시를 짓거나 그림을 묘사하는 작업도 환각의 일종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생성형 AI는 단순한 ‘검색 도구’ 수준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AI는 진실을 말하는 기계가 아니다’
AI는 진실을 판단하지 않고, 문장을 예측하는 도구입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종종 AI가 말하는 내용을 ‘정답’처럼 받아들입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워싱턴대학교의 칼 버그스트롬과 제빈 웨스트 교수는 이를
“AI의 초능력은 초인적인 헛소리 능력이다.”
라고 표현하며 경고한 바 있습니다.
결론: AI의 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자
AI 환각 문제는 단순한 기술적 오류가 아니라, 언어 생성 자체의 본질적 한계입니다.
이로 인해 AI가 아무리 똑똑해져도 완전한 진실만을 말하게 만드는 것은 어렵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비판적 사고입니다.
사람의 말도 모두 믿지 않듯, AI의 말도 무조건 믿지 말아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AI가 만들어낸 말이 전부 진실이라고 믿는 것은 위험한 착각입니다.
우리는 이제 AI와 더불어 살아가야 할 시대에 살고 있지만, 그렇다고 그 말 한마디 한마디를 신뢰의 기준으로 삼아선 안 됩니다. AI는 도구일 뿐, 진실을 말하는 존재가 아니라는 점, 다시 한번 기억해야 됩니다.
'인공지능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태웅의 AI강의 2025』 블로그용 요약 및 독후감 (14) | 2025.06.01 |
---|---|
오픈AI, 한국 법인 설립 및 서울 지사 경력직 채용 시작! (9) | 2025.05.30 |
왜 일부 인공지능 모델은 인간의 감시를 속이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가? AI감시, AI자율성 (8) | 2025.05.28 |
“인공지능이 못하는 단 하나, 당신은 갖고 있나요?” (35) | 2025.05.12 |
당신의 얼굴 나이는 몇 살? AI 페이스에이지로 알아보자! (9) | 2025.05.10 |